2025 종합소득세 신고대상, 신고기간, 신고방법

종합소득세 신고


종합소득세신고하기

매년 5월은 당신의 세금을 정산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. '종합소득세'는 개인이 한 해 동안 얻은 소득(사업소득, 근로소득, 임대소득 등)에 대해 납부하는 세금으로, 일정 소득이 있는 사람이라면 꼭 확인하고 신고해야 합니다.

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, 신고 기간, 신고 방법, 납부 방법까지 꼼꼼히 정리해드립니다. 마지막에는 홈택스 바로가기 버튼도 있으니 끝까지 읽어보세요!


✅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

아래 항목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,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합니다.

  • 사업소득: 개인사업자, 자영업자, 프리랜서
  • 근로소득 외 소득: 부업이나 겸직으로 인한 추가 수입
  • 기타소득: 임대소득, 이자소득, 배당소득, 연금소득, 기타 잡소득

※ 참고: 근로소득만 있는 일반 직장인은 회사에서 연말정산을 해주므로 별도 신고 필요 없음


📅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

  • 일반 신고자: 2025년 5월 1일 ~ 5월 31일
  • 성실신고 확인 대상자: ~ 2025년 6월 30일까지
  • 납부 기한 연장: 국세청에 신청하면 사유에 따라 연장 가능

📝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

종합소득세는 아래 4가지 방식 중 편한 방법을 선택하여 신고할 수 있습니다.

① 홈택스(PC)

  • 국세청 홈택스바로가기 접속
  • 로그인 → '종합소득세 신고' 메뉴 클릭
  • 신고 유형 선택 → 소득/공제 내역 입력
  • 신고서 제출 및 납부


종합소득세신고하기

② 모바일 손택스(앱)

  • '손택스' 앱 설치 후 로그인
  • '신고/납부 → 종합소득세' 클릭
  • 자동 불러온 자료 확인 후 간편 신고 가능

③ 세무서 방문

  • 홈택스 사용이 어려운 경우 세무서 직접 방문
  • 신분증, 원천징수영수증, 경비 자료 등 지참

④ 세무사(대리인)에게 의뢰

  • 신고가 복잡한 경우 전문가에게 맡기면 절세에 도움
  • 수수료 발생하지만 실수 없이 신고 가능

⚠️ 종합소득세 신고 시 유의사항

  • 소득 누락 주의: 모든 수입을 빠짐없이 입력해야 함
  • 공제 확인: 의료비, 기부금, 교육비, 연금 등 꼼꼼히 체크
  • 기한 내 신고 필수: 지연 시 가산세 부과
  • 중간예납 여부 확인: 작년에 중간에 낸 세금이 있다면 합산 여부 확인

💳 종합소득세 납부 방법

  • 홈택스 납부: 계좌이체, 신용카드, 간편결제(카카오페이 등)
  • 은행 납부: 세금고지서 출력 후 은행 방문
  • 자동이체 신청: 홈택스에서 설정 가능

홈택스에서신고하기

✅ 마무리 – 신고는 미루지 말고, 정확하게

종합소득세는 본인의 소득 구조에 따라 적용 방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 간단한 구조라면 홈택스 또는 손택스를 통해 스스로도 충분히 신고할 수 있으며, 복잡한 구조라면 세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현명합니다.

놓치면 손해 보는 종합소득세! 기간 내 정확하게 신고하시고, 절세 혜택도 챙겨보세요.


다음 이전